새만금해상풍력발전사업을 둘러싼 전북대학교 S교수와 그 형제들의 비위 혐의에 대한 경찰 수사와 감사원 감사·국세청 세무조사 등이 전방위로 확대되고 있다고 한다.
이들이 저지른 불법행위 혐의는 새만금해상풍력발전사업 추진과 공기업·자치단체가 발주한 해상풍력단지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 수행 과정에서 용역비 횡령 및 배임, 사기 및 사기 미수, 업무방해 등으로 알려졌다.
특히 전북대 S교수는 사실상 영리목적의 회사 수개를 만들어 운영하면서 총장의 겸직 승인을 받지 않은 것과 박사학위 등 논문표절 및 대필 의혹이 추가돼 집중적인 수사와 감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는 전북대 S교수와 그 배우자가 최대 주주이면서 형과 동생 등이 주주로 참여하는 가족회사 겸 지주회사를 만들어 그 밑에 이 지주회사가 100% 지배하는 또 다른 회사를 설립해 형과 동생, 동서를 대표로 앉혀 놓고 온갖 추악한 범죄 행위를 저질렀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이 과정에서 협력업체로 참여했거나 투자했던 일부 업체와 개인들은 그 피해가 아직도 회복되지 않아 정신적 물질적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더욱이 전북대 S교수는 자신이 수주한 연구 용역에 석박사 과정의 나이 어린 연구원들을 참여시키고도 그들에게 지급해야 할 인건비 일부를 빼돌린 혐의는 저잣거리 양아치들도 하지 않는 짓을 아무런 죄의식 없이 저질렀다.
코 묻은 돈을 뺏어 자신의 뱃속을 채우는 파렴치범 그 자체로 아연실색할 수밖에 없다.
물론 경찰의 수사가 아직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 사건의 최종 결과를 예단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일개 국립대 교수와 그 형제들을 잡겠다고 경찰이 수개월 동안 강도 높은 수사를 하고, 감사원이 감사를 진행하며, 국세청도 계좌 흐름을 추적하며 세무조사를 벌이는 등 사정기관이 총동원되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을 도와준 뒷배는 없었는지 있다면 누가 어느 선까지 개입했는지 철저한 수사를 통해 밝혀 다시는 이들이 사회에 발을 들여 놓을 수 없도록 사법적 단죄를 해야 한다.
그리고 차제에 ‘돈 놓고 돈먹기’, ‘먼 저본 사람이 임자’라는 인식이 팽배한 해상풍력사업과 관련한 행정 절차상의 관리감독을 위한 제도적 미비점은 없는지 살펴서 보완을 서둘러야 한다.
전북도의 성장 동력과 미래가 걸린 신재생에너지사업을 뿌리부터 흔들어 댄 전북대 S교수와 그 일가의 비위 혐의에 대한 이번 사건을 바라보는 전북도민들의 시선이 따갑다.
어떻게 된 건지 답을 하라고 했어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