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해상풍력발전사업권 매각 피해업체들...감사원 감사 청구
감사원, 하반기 특정사안 감사분야에 신재생에너지사업 포함 촉각
경찰 수사에 이어 국민권익위도 민원 접수 현재 조사 진행중

전북대 공대에 재직하고 있는 S교수와 관련된 해상풍력발전단지개발 용역비 횡령 등 비위행위 혐의에 대한 경찰의 수사가 빨라지고 있는 가운데 이 문제가 국회 국정감사에도 오를 전망이다.
특히 새만금해상풍력발전사업의 특수목적법인(SPC) 지분 전체가 중국계와 태국계 자본을 앞세운 회사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피해를 입은 업체들이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하는 등 S교수와 관련된 해상풍력사업 전반에 대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7일 김제뉴스의 취재를 종합하면 국회 구자근(국민의힘) 의원실은 최근 전라북도에 전북대 산학협력단 등과 체결한 용역 내역(5년치)과 산하기관인 전북테크노파크의 해상풍력사업관련 사업 추진현황·민간기업과 투자 및 용역 등 계약체결내역서·사업비 배정현황·연구참여자 인건비 지급내역서 등의 자료를 요구했다.
구 의원실은 또 한국서부발전 등 발전공기업의 해상풍력발전사업 지분 참여 내역 등과 산업통상자원부에 새만금4호방조제 내측에서 추진하는 새만금해상풍력발전사업 등 국내 서남해권에서 진행하는 해상풍력발전사업인허가 관련 내역 전체에 대한 자료 등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구 의원실 관계자는 “우리나라 해상풍력발전사업이 크게 확대되면서 서남해권에서 추진하고 있는 해상풍력사업과 관련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면서 “국가기간산업인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차원에서 관련기관에 이번 정기국회 국감 자료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또한 감사원은 올해 하반기 감사운영계획을 발표하면서 특정사안 주요 감사분야 대상에 신재생에너지사업을 올려놓고 감사에 나설 예정인 가운데 새만금해상풍력발전사업권이 외국계 회사로 넘어가면서 피해를 입은 업체들이 이 사업에 대한 감사를 청구해 그 결과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밖에도 S교수와 새만금해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한 다수의 민원도 제기돼 현재 관련기관의 조사가 진행 중이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 7월부터 S교수의 해상풍력단지개발 용역과 관련된 민원을 접수하고 조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전북대 산학협력단과 S교수가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ㅈ타이앤디(주)에서 수주한 해상풍력발전단지개발 용역 수행 과정에서 빼돌린 인건비 횡령 및 배혐 혐의 등에 대한 고소고발사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S교수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해상풍력단지개발 용역 및 새만금해상풍력발전사업 등을 둘러싼 논란이 전방위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S교수가 소속된 전북대를 향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S교수의 비위 혐의가 잇따라 대두되고 있는데도 정작 전북대는 이에 대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전주시에 거주하는 강모(61)씨는 “해상풍력사업으로 인한 전북대 교수의 비위 혐의가 갈수록 태산이다. 그런데 왜 전북대는 이 문제에 대해 꿀 먹은 벙어리가 됐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면서 “경찰의 철저한 수사와 감사원의 감사로 진실을 명명백백하게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전북대 S교수는 자신과 배우자가 최대 주주인 (주)ㅎ양에너지기술원이라는 회사를 통해 형과 동생, 동서 등이 대표이사를 맡는 ㅅ해상풍력(주), ㅈ타이앤디(주), ㅈ타이앤씨(주)를 지배하며 해상풍력단지개발 용역을 수행하고 있다.
이 가운데 ㅅ해상풍력(주)는 새만금개발청이 추진하는 4,400억원 규모의 새만금해상풍력발전사업(99.2MW) 시행사 역할을 도맡아 지난해 9월 SPC를 구성한 후 최근 중국계와 태국계 자본이 들어간 한 회사에 사업권 전부를 매각하는 과정에서 불법적인 사내이사 및 공동대표이사 선임 변경등기 혐의(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죄)로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임현철 기자(limgija@)
정신병자새꺄
세상온갖 나쁜짓만 골라서 하는새끼
디져 십세끼야
내가 태어나서 가장잘못한것이
너 만난것이다. 개 시불노무새끼야